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뉴스에서는 전공의 근무 환경 개선 이야기도 나오지만, 여전히 많은 젊은 의사들이 피로에 지쳐 '넉다운' 되고 있다는 현실!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과는 다른, 현실판 전공의들의 고된 하루들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전공의란?
전공의는 의과대학교에서 의사를 졸업한 후, 특정 전문 분야에서 수련을 받는 의사를 의미합니다. 전공의들은 전문의가 되기 위해 여러 해 동안 다양한 경험을 쌓고, 실제 환자를 치료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전공의들이 수련을 중단하거나, 아예 돌아오지 않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공의들의 고충
전공의들은 긴 시간 동안의 수련과 불규칙한 근무 시간으로 인해 많은 힘든 상황에 직면합니다. 이들은 신체적, 정신적 피로를 겪고 있으며, 그로 인해 burnout(번아웃) 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고충은 결국 전공의들이 직업을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주 72시간 근무? 여전히 살인적인 스케줄!
2025년부터 전공의 주당 근무 시간이 기존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단축되었다는 소식, 들으셨을 겁니다. 물론 이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여전히 72시간은 일반 직장인들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시간입니다.
게다가 이는 법정 '최대' 근무 시간일 뿐,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병원에서 보내는 전공의들이 많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쪽잠으로 버티는 날들이 비일비재하니, 만성적인 피로는 당연한 결과일 수밖에 없습니다.
2. '잡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현실!
단순히 진료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각종 서류 작업, 환자 이송, 심지어는 보호자 응대까지. 전공의들은 의학 공부에 집중해야 할 시간에 과도한 잡무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업무 시스템은 전공의들의 귀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앗아가, 학습과 휴식의 기회를 박탈하고 결국 번아웃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3. '수련'인가 '노동력 착취'인가? 본질 흐리는 시스템!
이상적으로는 숙련된 전문의로 성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수련'을 받아야 하지만, 현실은 부족한 의료 인력을 메우기 위한 '노동력 착취'에 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제대로 된 교육과 피드백 없이 반복되는 업무, 선배 의사의 부재 속에서 홀로 감당해야 하는 책임감 등은 전공의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진정한 성장이 아닌, 단순히 '버티는' 시간으로 느껴질 때, 육체적 피로감만큼이나 정신적인 소진 또한 클 수밖에 없습니다.
4. 열악한 처우, 쥐꼬리만 한 월급으로는 미래가 불안!
고된 노동 강도에 비해 전공의들의 급여는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해야 할 젊은 의사들이 경제적인 어려움까지 겪게 되니, 이는 곧 직업에 대한 회의감과 불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박봉에 불안정한 미래까지 더해지니, 쉽게 지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릅니다.
5. 감정 소모 심한 업무, '멘탈'까지 탈탈 털린다!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현장은 그 자체로 엄청난 스트레스와 긴장감을 동반합니다. 특히 응급 상황이나 위중한 환자를 마주할 때 전공의들이 느끼는 정신적인 압박감은 상상 이상일 것입니다.
게다가 환자 및 보호자와의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 때로는 감정적인 호소나 불만을 감당해야 하는 것 또한 전공의들의 '멘탈'을 갉아먹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6. 부족한 휴식과 자기 계발 시간의 부재!
극심한 업무량과 불규칙한 근무 패턴 속에서 전공의들은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충분한 수면 부족은 집중력 저하, 판단력 흐림 등 의료 과실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전공의 본인의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끊임없이 발전하는 의학 지식을 따라가기 위한 자기 계발 시간조차 부족하니,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전공의가 돌아오지 않는 이유
최근 많은 전공의들이 다시 수련의 길로 돌아오지 않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① 정부와의 불신
많은 전공의들은 정부와의 불신으로 인해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정부가 약속한 정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불만이 계속 쌓이는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된 기사에 따르면 "전공의가 돌아오지 못하는 이유는 정부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② 의료 환경의 변화
의료 환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의료 시스템의 변화가 심화되면서 전공의들이 직면해야 하는 문제들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이러한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전공의들이 복귀를 주저하게 됩니다.
③ 개인의 원인
또한 전공의 개인의 사정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혼, 육아 등의 개인적인 이유로 인해 직업 선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전문의로서의 경력을 쌓기보다는, 어느 정도 안정적인 삶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공의들이 선택하는 대안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대신 어떤 대안들을 선택하고 있을까요? 많은 전공의들이 일반 개원의나 비의료 직종으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선택은 수익성, 근무 환경, 근무 시간 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이들은 더욱 유연한 근무 환경을 원하고,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의료계의 향후 전망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은 의료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된다면, 의사 부족 사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결국 환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부와 의료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마무리 및 개인적인 의견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개인의 사정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신뢰를 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전공의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수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선택을 넘어서는 사회적 문제로, 미래의 의료 환경을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계와 정부가 함께 협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한겨레 - 수련의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138063.html)
[2] 청년의사 - "전공의 왜 안 돌아오냐고? 약속 안 지키는 정부 때문" < 기관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7708)
[3] 의협신문 - 전공의가 돌아오지 못하는 이유 "거짓말쟁이는 누구?"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872)
[4] KBS 뉴스 - 전공의들은 왜 돌아오지 않을까?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157333)